MOON SICK

B. CUT 갤러리 기획 초대

KHO YOONSUK

The 8th Solo Exhibition

MOON SICK

B. CUT 갤러리 기획 초대

KHO YOONSUK

The 8th Solo Exhibition

2018. 9. 5 (수) — 10. 2 (화)

작가와의 대화
9. 12(수)|
07:00 p.m.

관람시간
월 ~ 토11:00 a.m. – 06:00 p.m.
수요일  |02:00 p.m. – 06:00 p.m.
(일요일, 공휴일, 추석연휴 22~25 휴무)

B. CUT

비컷 갤러리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 11라길 1F

Open Hour
월-토 11:00-18:00
(수 14:00-18:00)

 

준비는 된 걸까
누군가 보고 있을까
위험한 일을 하자
태어날 때부터 똑같은 병이구나
위험한 일을 하자
달이 보고있지만

– 星野 原 <Moon Sick> 중에서 –

 

MOON SICK
득의망상 得意忘象
(뜻을 얻었으면 상을 버려라)

9월 B.CUT 비컷 갤러리 展은 고윤숙 작가의 개인전으로 감상자들과 만납니다. 작가에게 작 업을 한다는 것은 미지에 대한 탐험이고 전시는 그 과정에서 배운 결과물을 매체를 통해 보여주는 것이라 생 각합니다. 그래서 2014 년 9 월 첫 전시를 시작으로 마흔아홉 번째 전시를 진행해 오면서 많은 즐거움이 있었 지만 작가가 공부한 것을 배울 수 있었던 것이 가장 큰 기쁨이었습니다. 그 점에서 서양화가이면서 각종 서예 대전에서 수상한 서예가이기도 한 고윤숙 작가의 질문을 던지는 작업은 보다 역동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9월 을 만들어주리라 봅니다.

展은 기존의 완결된 목적성을 갖춘 전시와는 달리 서양화와 서예를 동시에 작업하고 있는 작 가의 고민과 방향성에 대한 탐구를 보여주는 전시입니다. 캔버스에 서예 붓의 운동성을 접목시켜 다양한 재 료로 각 매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결합하고, 혹은 와해하면서 부단하게 새로운 곳으로 향하고 있는 그의 작 업은 방향성에 있어서는 동양의 미학에 더 많이 기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작가가 메모해 둔 글을 보면 작업의 방향성이 분명히 보입니다. 그중에서 동양화 화론인 <익주명화록>에서 발췌한 글을 살펴보겠습 니다. “작업을 하면서 잣대에 맞게 그리려고 하는 것을 졸렬히 여기고, 채색에 몰두하는 것을 비루하게 여긴 다. 필획은 간략하지만 형을 갖추고 있으니, 이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것이다. 그것은 예상을 초월한 것이어 서 모방하여 본뜰 수 없다. 이를 평하여 이르길 일격(逸格)이라 한다.” 그뿐만 아니라, 삶을 관조하며 ‘무엇’으 로부터 해방인지를 되묻고, 활달한 생명으로서 작업을 대하는 작가의 태도는 불학(佛學)과도 무관하지 않음 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향성과 태도가 작가의 고민을 덜어줄 수는 없었을 것입니다. 서양화 와 서예가 만나는 작업은 매체의 특이성을 구별하는 것도 있지만 한번도 가본 적 없고 누구도 간 적 없는 미 지로 향하는 탐험이자 도전이기 때문에 무수한 질문을 피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득의망상(得意忘象, 뜻을 얻었으면 상을 버려라)은 작가가 아직 닿지 못한, 지향하는 미지의 그곳일 것입니다.

나라는 존재에 대한 근원적 질문을 끊임없이 하는 것이 삶이라면 작가는 작업을 통해 질문하고 해석하여 삶 으로 드러내는 것이 작업하는 이유라고 합니다. 이러한 작가의 진지하고 성실한 태도는 지난 일여 년간 매 주 서예를 배우면서 보았기에 개인적으로는 전시를 통한 배움 외에 이미 많은 것을 고윤숙이라는 사람을 통 해 배우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인연으로 전시까지 이어지는 귀한 선물까지 주었으니 작가는 작업의 이유를 착실히 실천하고 있는 셈입니다. 작업을 하면서 가지는 질문에 대한 답을 여전히 찾지 못했고 어쩌면 찾을 수 없다 해도 스스로의 삶이 바뀌고 주변을 바꿀 수 있다면 그의 작업은 이미 빛나고 있기에 작가의 삶과 유리된 작업은 줄 수 없는, 작가를 만나는 순간을 감상자 역시 가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 B. CUT 갤러리 큐레이터 이혜진 –

1. 질문하다.
동양회화와 서양회화를 구분 짓고, 교육과정에서의 전공과목을 구분짓는 가장 근본적인 차이, 그 특이성은 무엇일까? 회화로 국한시켜서 동양회화와 서양회화의 공통적인 요소들을 제외하였을 때, 무엇이 이것은 동양회화라고 구분 짓는 기준일까? 화가의 출생 국가 또는 화가의 작업의 공간적 구분은 아닐 것이다. 또는 형상이나 재료의 차이는 더더욱 아닐 것이다. 이미 동양화가의 재료는 전통적인 재료의 틀을 벗어난 지 오래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떤 측면에서 ‘동양화’라고 규정지을 수 있는 것일까?

서예와 전각을 공부하면서, 새삼스럽게 이러한 질문들을 스스로에게 던지게 된다. 서예는 그 특성상, 오랜 시간 기본적으로 다섯 가지 서체를 두루두루 깊이 공부해야 비로소 그 세계의 문턱에 들어설 수 있기 때문에, 서예를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수많은 오해와 실수를 연발할 수 밖에 없고, 그 수준만큼의 질문 밖에는 만들 수 없다.

서예는 보는 감상자에게 그 예술의 특이성을 감상하게 하는 측면도 또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만, 그보다는 서예를 공부하는 사람 스스로 붓과 먹, 종이 등이 가지고 있는 특이성을 익히고 발견하여 그 세계를 확장시키는 즐거움을 몸소 체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예술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경전이 말로 전할 수 없는 것을, 그 한계에도 불구하고 말과 글이라는 제한된 수단을 통해 전하는 것처럼, 서예 또한 앞선 서예가들의 작품들의 임모를 통하여 붓과 먹 등을 다루는 법을 전하고 있기에 몸소 체험하여 익히고 발견해 나가는 그 과정 자체가 서예라는 예술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동양 예술 중에서 특히 서예는 동양 붓의 ‘삼차원적인 운동’의 입체성을 이차원적인 획을 통하여 구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서예에서는 고전작품들의 임모를 통하여 ‘입체적인 획’을 체화함으로써, 일반적인 모든 ‘선’들과의 차이를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 고대 묘분벽화나 도기화 등을 제외하고, 서양 회화사에서 공통된 특징은 삼차원의 입체적 공간을 평면 혹은 조각 등을 통하여 보다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선과 색채들의 관계로 구성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와 달리 동양 예술 중에서, 특히 서예의 경우 서양화 붓의 운동 방식과는 다른 붓의 운동 방식(예를 들면 역입과 회봉 등)이 가장 중요하고 근본적인 차이를 만들어내는 특이성이라고 생각한다. 서예의 전통과 그 맥을 같이 하는 전통적인 동양 회화에서는 삼차원적인 입체적 공간을 투시법에 의하여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삼차원적인 세계의 상을 넘어서 의경을 표현하고자 한다.

실제적인 형상의 사실적인 묘사를 위하여 선이나 채색을 하지 않고, 의경을 표현하기 위하여 붓의 운동, 입체적인 획을 표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예술의 높이와 깊이를 재는 기준이 되는 것이 아닐까. 동양예술이라고 특징짓고 구분 지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특이성은 바로 이 동양 붓의 삼차원적인 운동을 통해 그 주제를 드러내고자 하는가이다. 동양 붓과 호응하는 종이와 먹, 물감 등은 현대에 이르러 더욱 다양한 재료들로 확장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과과정에서 동양화를 전공했다 라는 것에서 작가의 작품이 동양화로 구분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하게 된다. 아시아인들이 그렸다고 동양화라 부를 수 없듯이, 지정학적으로 서양에 살고 있는 이들이 동양 붓으로 그 삼차원적인 운동의 입체성을 표현한다면, 그것은 동양화라 부를 수 있지 않을까. 이러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차이를 구분 지을 수 없다면, 동양화가 서양화와 근본적으로 구분되는 그것만의 특이성을 무엇으로 볼 수 있을까. 가장 중요한 특이성은 동양 붓의 이러한 삼차원적인 운동을 입체적으로 획을 통하여 드러내고 있는 것이 아닐까?

2. 받아적다 –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장파.
· 하늘에서는 상을 이루고 땅에서는 형을 이룬다(在天成象 在地成形) – <주역>에서
· 막힘없이 자유로움을 일러 일(逸)이라 한다. – 장파,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 잣대에 맞게 그리려고 하는 것을 졸렬히 여기고, 채색에 몰두하는 것을 비루하게 여긴다. 필획은 간략하지만 형을 갖추고 있으니, 이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것이다. 그것은 예상을 초월한 것이어서 모방하여 본뜰 수 없다. 이를 평하여 이르길 일격(逸格)이라 한다. – <익주명화록>에서
· 그림의 색은…농담과 명암에 있다. 즉, 감정과 모양이 그것으로 드러나며, 원근도 그것에 의해 구분되고 정과 신이 그것으로 발양되고, 경과 물이 그것으로 선명해진다. – 심종건의 <개주학화편>권1에서

夫陰陽陶蒸 萬物錯布 (부음양도증 만물착포: 음양이 만물을 만들어 키우고, 만물은 온 세상에 널려 있다.)
玄化無言 神工獨遠 (현화무언 신공독원: 현묘한 변화는 말이 없고, 신령한 기술은 진실로 아득하다.)
草木敷榮 不待舟綠之采 (초목부영 부대주록지채: 초목이 영화롭게 펼쳐짐은 알록달록한 색깔 때문이 아니다.)
雲雪飄揚 不待鉛粉而白 ( 운설표양 부대연분이백: 구름이 떠다니고 눈이 흩날리는 것은 흰 물감으로 희게 하는데 의존하지 않는다.)
山不待空靑而翠 鳳不待五色而粹 ( 산부대공청이취 봉부대오색이수: 산은 푸른색에 의존하지 않아도 비취빛을 띠며, 봉황은 오색에 의지하지 않고도 아름답다.)
是故運墨而五色具 謂之得意 (이런 까닭에 먹을 이용해도 오색이 구비된다. 이를 득의라고 한다.)
– <역대명화기> 장언원

3. 노래하다
붓을 잡고 종이 위를 노닐다 보면, 높이 떠 있던 해도 지기 마련. 눈부시던 거리에도 어둠이 스며든다. 등줄기로 땀방울이 또르르 소리 없이 흘러내리는 간지러움이 여전히 마르지 않은 채로 집으로 돌아갈 채비를 서두른다.

전각 칼을 쥐었던 어설픈 손가락에는 서리태 콩알 만한 물집이 자리 잡고, 늘 연습을 하지 못한 덕분에 팔은 어느 순간 욱 소리 나도록 아프다. 종일 신체와 함께 뛰어 오르고 내려앉기를 수없이 반복한 붓을 여러 차례 물에 헹구어 되도록 깨끗하게 먹을 씻어 내는 것은 마치 나 자신에 스며든 하루의 먹을 닦아 내듯 상쾌하다.

벼루 또한 회색 맑은 빛으로 닦는 일은 얼굴을 깨끗이 닦아 내듯, 공부를 마무리하는 하루 중 즐거운 시간이다. 먹을 갈아 내는 벼루와, 먹을 머금고 열심히 종이 위에서 사방팔방으로 가고 멈추기를 마다하지 않은 붓에게도 늘 감사의 말을 전한다. 의식하지 못하는 순간순간 말초신경의 활발한 운동으로 인하여 하루 공부한 만큼의 체득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나이 든 자가 가르침을 받을 수 있는 스승이 있음은 그 무엇보다도 복된 일인 것이다. 그 귀한 인연에 늘 감사가 절로 나온다. 무더운 여름보다 더 뜨겁게 공부하는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세상의 모든 인연이 밀어주고 끌어주는 힘이 되는 것 같다. 한마디로 이 나이에도 공부 복이 터졌다고 생각하니 매우 기쁘다.

버스를 타고 지하철을 갈아타고 집으로 가는 늦은 밤길에 노래는 즐거운 벗이다. 침침한 눈과 힘겨운 몸을 이끌고 집으로 가는 길, 다음 날에도 ‘다시!’ 공부하기를 다짐하도록 힘을 주는 노래를 벗 삼아 마음은 여전히 흥겹다.

MOON SICK. 밤은 위험한 시간이기도 하다. 말초 신경계의 운동이 다른 양상을 띠게 되는 시간이다. 그 밤에 또한 잠들지 못한 이들의 상상의 세계에서는 낯설고 때로는 위험해 보이는 세계가 탄생하기도 한다. 매우 집중하여 흐트러짐 없이 붓의 운동을 익히고자 일어서고, 또 다시 일어서는 순간들을 거두어들이고, 그 순간들을 넘어서 가고 싶다.

“준비는 된 걸까 / 누군가 보고 있을까 / 위험한 일을 하자 / 태어날 때부터 똑같은 병이구나
/ 위험한 일을 하자 / 달이 보고있지만“
– 星野 原 중에서

– 고윤숙 –

에트나 화산이 아니어도 1 50.5×36cm 수채화지, 먹 2018

 

에트나 화산이 아니어도 2 50.5×36cm 수채화지, 먹 2018

 

에트나 화산이 아니어도 3 36×26cm 수채화지, 먹 2018

 

에트나 화산이 아니어도 4 36×26cm 수채화지, 먹 2018

 

에트나 화산이 아니어도 5 26×20cm 수채화지, 먹 2018

 

에트나 화산이 아니어도 6 26×20cm 수채화지, 먹 2018

여우인유운계사 (與友人遊雲溪寺) 133×73cm 순지,먹 2018

與友人遊雲溪寺 (여우인유운계사)
野外同淸賞 來尋鶴洞幽 (야외동청상 내심학동유)
雙崖開遠峽 一水瀉中流 (쌍애개원협 일수사중류)
石登雲生屐 松廊露濕裘 (석등운생극 송랑로습구)
更期蓮社會 高興又宜秋 (갱기연사회 고흥우의추)
– 우계 성혼의 시 <친구와 함께 운계사에 노닐다>

야외의 좋은 경치 함께 하려고
청학동 그윽한 골짜기 찾아 왔네
양 언덕 사이로 길게 이어진 골짜기
한 물줄기가 그 사이로 흘러 내리네
돌길을 오르나니 발아래 구름이 일고
소나무 숲길이라 이슬이 옷자락 적시네
언제 다시 만나 좋은 모임 가질까
높은 흥취 이루기엔 가을이 마땅하겠네

산행일계수 곡절방루도(山行一溪水 曲折方屢渡) 73×140cm 순지,먹 2018

山行一溪水 曲折方屢渡

積城之靑鶴洞在紺岳山, 洞口有一溪回互曲折, 余嘗訪詩僧於雲溪寺, 匹馬一囊, 窮源討幽, 方渡一溪十二, 然後至其麓, 後讀社詩‘山行一溪水 曲折方屢渡’, 正與曩日所見無異, 風簷展書, 如對靑鶴, 然不知劉須溪何人也, 以一字, 爲可笑, 何耶? 愚竊疑心下一字, 然後於下句屢渡字, 尤有味也.

적성(지금의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일대)의 청학동은 감악산에 있다. 동구에 하나의 계곡이 있는데 꼬불꼬불 굽이진다. 내가 일찍이 운계사로 시승을 방문했는데, 필마에 주머니 하나 차고 물길을 거슬러 그윽한 곳을 찾아갔다. 바야흐로 한 계곡을 열두 번 건넌 연후에야 그 산기슭에 이르렀다. 이후 두보의 시 가운데 “산으로 가는데 하나의 계곡물이, 굽이져 바야흐로 여러 번 건넜네”라는 구절을 읽으니, 마침 지난날 보았던 것과 다르지 않았다. 바람 부는 처마에서 책을 펼치니 마치 청학을 마주한 것 같았다. 그러나 유수계(유진옹)가 누구인지는 알지 못하겠으나, ‘일’자를 가소롭다고 여긴 것은 어째서인가? 내가 적이 의심컨대 반드시 ‘일’자를 쓴 연후에야 아랫구의 ‘누도’자가 더욱 맛이 있다.

– 남효온, <추강집 권7> 잡저 추강냉화 6칙

향산소보(香山小譜) 32×128cm 순지,인주,먹 2018

공덕(功德) 50×123cm 순지,인주,먹 2016

득의망상(得意忘象)- 왕필 주역약례-명상 중에서 210×201cm 화선지,먹,주먹 2018

하드리아누스 정원이 아니어도 50.5×36cm 수채화지, 먹 2018

로마의 소나무가 아니어도 50.5×36cm 수채화지, 먹 2018

아모르와 프쉬케가 아니어도 26×20cm 수채화지, 먹 2018

아폴론과 다프네가 아니어도 26×36cm 수채화지, 먹 2018

하데스와 페르세포네가 아니어도 26×36cm 수채화지, 먹 2018

아이네아스와 디도가 아니어도 26×36cm 수채화지, 먹 2018

다프네의 월계수가 아니어도 1 26×20cm 수채화지, 먹 2018

다프네의 월계수가 아니어도 2 26×20cm 수채화지, 먹 2018

다프네의 월계수가 아니어도 3 26×20cm 수채화지, 먹 2018

다프네의 월계수가 아니어도 4 26×20cm 수채화지, 먹 2018

이단 72.7×60.6cm 캔버스에 혼합재료 2017

붉은 혓바닥 72.7×53cm 캔버스에 혼합재료 2017

杜甫(두보) 春夜喜雨(춘야희우) 중에서 2구 24.5×36cm 2016

杜甫(두보) 春夜喜雨(춘야희우) 중에서 2구 24.5×36cm 2016

春夜喜雨(춘야희우) – 杜甫(두보)
好雨知時節 (호우지시절)
當春乃發生 (당춘내발생)
隨風潛入夜 (수풍잠입야)*
潤物細無聲 (윤물세무성)*
野徑雲俱黑 (야경운구흑)
江船火燭明 (강선화촉명)
曉看紅濕處 (효간홍습처)*
花重錦官城 (화중금관성)*


봄밤의 단비 – 두보
좋은 비는 시절을 알아
봄이 되니 내리네.
바람 따라 몰래 밤에 들어와
소리 없이 촉촉히 만물을 적시네.
들길은 구름이 낮게 깔려 어둡고
강 위에 뜬 배는 불빛만 비치네.
새벽에 붉게 젖은 곳을 보니
금관성에 꽃들이 활짝 피었네.

무생역무멸(無生亦無滅)-중론 18장 관법품 觀法品중에서 도자기 2016

열반(涅槃), 무생역무멸(無生亦無滅), 부단역불상(不斷亦不常) – 중론 18장 관법품 觀法品 중에서 도자기 2016

열반(涅槃) Ø30cm 백자에 청화 2016

Artist

고 윤 숙 / KOH, YOON-SUK
향산(香山), 산목재(散木齋)

선화예술고등학교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유학과 재학

2018
제9회 강섭월출(牨涉月出)_물소는 거닐고 달은 뜨다 (불일미술관 1, 2관, 서울)
제8회 MOON SICK_득의망상 得意忘象 (B. CUT 갤러리, 서울)

2017
제7회 화석의 여름_김시종 시에 부쳐 (2017 스페이스선+ 추천작가전, 서울)

2016
제6회 마음자리_말도끊기고생각도끊긴 (한옥갤러리, 서울)

2015
제5회 변이의 여백_존재의 기억의 말을 걸다 (갤러리 M, 서울)

2014
제4회 하나의 꽃 (한옥갤러리, 서울)
제3회 花開華謝_꽃은 피고 지고 (가나아트스페이스, 서울)

2006
제2회 北冥有漁_북명유어 (토포하우스, 서울)

2004
제1회 거듭나기 (경인미술관, 서울)

2018
제45회 이서전, 가나인사아트, 서울
제23회 서울서예대전 서예 한문부문(예서) 입선,인사동한국미술관, 서울
의난현예술학회회원전-대만한국미술교류전, 의난현, 대만
제3회 열림 서예연구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아트센터, 서울
제30회 대한민국서예대전 한문부문(예서) 입선, 인사동한국미술관, 서울
제9회 샤샤전, 금보성갤러리, 서울
제21회 신사임당, 이율곡 서예대전 서예 한문부문(예서, 초서) 입선, 인사동한국미술관, 서울

2017
제22회 서울서예대전 한문서예(예서) 특선, 인사동 한국미술관, 서울
제9회 샤샤전 갤러리이앙, 서울 첼시 아트페어, 영국
제29회 대한민국서예대전 한문서예(해서) 입선, 대구문화예술회관 전관, 대구
제20회 신사임당, 이율곡 서예대전 서예 한문부문(예서) 입선, 예술의 전당, 서울

2016
의난현예술학회대만한국미술교류전(宜蘭縣藝術學會臺韓美術交流展), 의난현, 대만
제44회 이서전(이화여대 서양화과 동문전) 인사아트스페이스, 서울
제8회 샤샤전 갤러리이앙, 서울 제28회 대한민국 서예대전 전각부문 입선
제2회 열림 조고관금(照古觀今)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아트센터, 서울

2015
제7회 샤샤전 동국아트갤러리, 서울

2014
의난현예술학회대만한국미술교류전(宜蘭縣藝術學會臺韓美術交流展), 의난현, 대만
제6회 샤샤전 갤러리이앙, 서울
제43회 이서전(이화여대 서양화과 동문전) 인사아트스페이스, 서울
제1회 열림 필가묵무(筆歌墨舞)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아트센터, 서울

2013
제5회 샤샤전 선화예술고등학교 솔거관, 서울

2011
세계평화미술대전 서예 한문부문(금문) 특선, 전각 입선, 안산단원전시관, 안산

2010
제14회 세계서법문화예술대전 한문서예(금문) 입선, 한국미술관, 서울
제13회 신사임당, 이율곡 서예대전 전각 부문 입선,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서울
제7회 서예문화대전 한문서예(금문) 특선,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서울

2009
제7회 한국서화명인대전 출품, 전각 부문 입선, 세종문화회관 별관 광화문갤러리, 서울
제13회 세계서법문화예술대전 서예 한문부문(전서)대련 동상. 한국미술관, 서울
제6회 서예문화대전 서예 한문부문(전서) 입선.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서울
제4회 경향미술대전 서예 한문부문(전서) 입선, 경향갤러리, 서울

2008
제12회 세계서법문화예술대전 서예 한문부문(예서)대련 특선,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서울
제11회 신사임당, 이율곡 서예대전 서예 한문부문(예서) 입선,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서울
“한국미술의 빛” 초대전 서양화 부문 출품, 밀라노 브레라아트센터, 갤러리타블로, 이탈리아, 서울
제3회 경향미술대전 서예 한문부문(예서) 입선, 경향갤러리, 서울

2007
제10회 안견미술대전 서예 한문부문(예서) 입선, 서산시문화회관, 충청남도 서산시
아트엑스포말레이시아, 서양화 부문 출품, 갤러리미즈, MECC, 말레이시아

1998
선화예술고등학교 동문전, 서울

1997
선화예술학교, 선화예술고등학교 개교20주년 동문전, 공평아트센터, 서울.

법보신문 2017년 <철학자 이진경 선어록을 읽다> 그림 연재
​수유너머 위클리 <돌에 새기는 이야기> 연재

2003~2009
[연구공간 수유+너머] – 토요서당 동양고전 및 시문학강의/ 서예 및 전각/ 서양화 강의

2009~2011
[수유너머 길] – [인문학아카데미 길벗] 서양고전 읽기 및 고전 강의 [카톨릭 청소년쉼터] 비극 및 시, 서양화 강의. [꿈틀공부방] 동서양고전 강의

2016
[수유너머N] – <획(劃)이 그리는 세계 – 서예의 철학과 역사> 강의

2018
장애성인 채움누리학교 미술강의

2016~ 현
[수유너머104] – 서예 동아리 강의

열림서예연구회 회원
수유너머104 회원
한국문화답사회 회원

동묵헌에서 자암 김장현 선생님께 서예와 전각을 사사 받고 있음.

작품문의 (Contact For Pr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