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갑 개인전

2023. 8. 9. (WED) – 8. 15. (TUE)

인사아트센터 1F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41-1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Beyond Exhibition | 김선갑

자개와 옻으로 그려진 사의화

박영택 (경기대 교수, 미술평론)

김선갑은 나무를 바탕 면으로 삼아 자개와 옻을 사용해 그림을 그린다. 독자적인 회화적 피부를 조성해나간다. 그것은 외형적으로는 추상회화이고 색채추상이자 물질로 이루어진 오브제 회화이며 단색조에 해당하면서 미니멀한 구조를 거느리고 있다.
붓질이나 신체적 자취 혹은 표현적인 흔적이 부재하고 형상이나 구체적인 재현적 이미지 없이 전적으로 색채/물질만으로 도포된 견고한 신체를 막으로 두르고 있을 뿐이다.
전적으로 표면만을 지시하는 이 화면은 그러나 납작하고 평평한 물리적 평면으로서의 피부가 아니라 심오하고 깊은 내부를 삼킨 판을 광활하게 넓혀나간다. 그것은 상하좌우도 없고 시간과 방향 감각이 무의미한 우주 공간을 연상시킨다. 이름 지을 수 없는 심오하고 채도가 낮은 색들이 전면적으로 중후하게 펼쳐진 화면에는 자잘한 색점들이 모래알처럼, 사금파리 조각마냥 박혀서 빛을 낸다. 그러면 그 빛을 따라 모종의 이미지를 은연중 연상하거나 선을 그려보게 된다. 마치 별을 쫓아 별자리를 만들어나가듯이 말이다. 별자리는 별이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시선이 만든다고 했듯이 결국 이 그림은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와 상상력의 개입으로 가능한 작업이 된다.
작가는 캔버스 대신에 견고하고 단단한 나무의 표면을 지지체로 삼 아 그 위에 자개 입자를 뿌리고 옻과 안료를 섞어 이를 고착시켰다. 그렇게 이룬 표면은 물질과 색채가 혼재되어 있고 중심과 주변의 경계가 모호한 체 어둠 속에서 명멸한다. 아득한 심연을 거느린 내부에서 빛나는 작은 점들은 보는 이들에게 다양한 상상력을 가능하게 해주는 모종의 단서들이다. 그러나 그것이 곧바로 특정 재현의 대상으로 가닿는 것은 아니다.
그 점, 입자들은 짙은 어둠 속이나 가라앉은 색채의 더미 속에서 그저 은밀하게 숨 쉬고 있을 뿐이다. 밝음의 상태, 반짝이는 어느 순간, 또는 작고 작은 조각들과 무수한 편린들로 그저 부유하고 있다.
화면 안에는 원형의 곡선을 지으며 선회하거나 반원의 형태를 짓거나 또는 둥근 유선형의 꼴을 만들기도 하고 소용돌이치는 선들의 궤적을 그려 보이거나 화면을 가로질러가는 직선 또는 사선만이 자리하고 있다. 그 부드러운 곡선과 단순한 직선의 흐름과 율동이 오동나무의 결(무늬)과 그 위를 점유하고 있는 단색조의 색층을 분할하면서 지나간다. 그러한 궤적은 마치 모필에 의한 한 획의 스침이나 바람의 결, 우주의 파동, 에너지/기의 흐름 등을 연상시킨다.
그렇지만 무엇보다도 짙게 가라앉은 색조의 화면 위로 부서지며 반짝이는 자개 입자들이 보여주는 풍경은 흡사 광막한 창공에 떠 있는 별들이거나 은하수의 무리, 인간의 실측에서 벗어난 우주의 풍경 같은 것이, 설핏 연상될 뿐이다. 그것은 눈으로 본 풍경이 아니라 마음이 그려본 장면 내지는 상상력에 의해 가설된 허구적 장면일 것이다. 작가는 화면을 바닥에 수평으로 눕혀 일치시킨 후에 그 위에서 자개의 입자를 뿌린다. 흘린다. 중력의 법칙에 의해 가는 자개 가루들은 바닥을 향해 낙하하고 흩어진다. 가루를 흘려가면서 모종의 형태를 잡아내거나 이미지를 그려나가는 이 일은 핑거페인팅에 해당하는 방법론과 유사하다. 직접 화면에 그림을 그리는 것은 아니지만 여전히 손의 예민한 감각에 의지해 자개 가루를 분사, 투여하고 그것을 고정시키고 옻을 바르는 일을 반복하면서 평면 위에 부조화(릴리프) 시키는 일을 반복해서 작업을 진행한다. 그로 인해 표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지니며 제각기 다르게 솟아오르는 자개들은 촉각적인 감각을 자극하며 발아한다. 그러나 사포로 갈아낸 표면은 비교적 균질하게 마감되어서 크기가 다르고 형태가 비균질적인 여러 자개의 양태를 가능한 고른 피부 위로 수렴시키고 있다. 입자를 뿌려가면서 모종의 형태를 잡아가고 옻과 안료를 섞어가면서 여러 번 바르고 사포로 갈아내기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화면은 깊게 침잠된 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작가는 오동나무 판을 재료로 삼아 이를 화면으로 다루고 있다. 그것을 비교적 얇게 켜서 납작한 표면의 상태로 만든다. 이후 그 피부/막을 불로 태워서 산화시킨다.
오동나무를 태우면 비로소 그 나뭇결이 선명하게 몸을 내민다. 그러니까 이른바 ‘그림’이 드러난다. 오동나무의 피부를 태워 탄소화시키고 표면이 숯이 되면 이른바 수축현상이 방지되는 한편 오동나무 특유의 매력적인 선이 드러나기에 이를 적극 활용한다고 한다. 이후 작가는 오동나무의 표면에 옻을 바르기 시작한다. 5회에서 10회에 이르기까지 반복해서 옻을 올린다. 질감을 만들어가는 한편 그 위에 얹혀지는 자개의 두께를 고려하면서 옻은 올라간다. 우리 선조들은 오동나무를 서류나 의복, 중요 기물 등 습기에 약한 물품들을 보관하는 데에 제격인 목재로 여겼다. 특수 섬유질로 인해 건습 조절이 용이하기에 그렇다. 특히 판재의 표면이 검고 광택이 없어 검소한 분위기를 추구하는 사랑방에 자리하는 용품 재료로서 적당하기에 조선시대 선비들의 사랑을 받은 특별한 목재였다.
김선갑이 이 오동나무를 재료로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특히 이 선비들의 미감, 미의식과 연관되어 있다. 강직하고 안정된 선비의 단아한 미의식과 함께 외형보다는 내적인 아름다움, 인위적인 것보다는 자연의 미를 추구하는 것이 조선시대 선비문화의 정수다.
바닥 면과 일치된 화면에 모필을 갖고 일획의 붓질을 하듯 선을 치는 행위, 그리고 자연의 재료를 갖고 그것의 본질을 고수하면서 인위성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다루고 아울러 자연의 이치를 궁구하며 그 본성을 작업 제작 방식과 주제의식으로 고스란히 일치하려는 시도 등에서 전통적인 동양화 제작 방식과 김선갑 작업의 유사함을 생각하게 한다. 작가는 자신의 작업을 일종의 문인화, 수묵화와 같다고 말한다. 옻과 자개를 이용한 문인화 내지 회화 작업이라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그는 유독 문인화 정신을 강조한다.그는 선비정신의 강직함과 검박함, 절제된 미감과 청빈함, 격조 있는 미감을 자기 작업의 중추로 삼고 있어 보인다. 그것이 현재 단색조의 색채 미감과 미니멀한 구성과 절제된 화면 연출 등에서 시연되고 있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그는 오랜 기간 산수화를 그려왔고 문인화를 해온 경험, 이력이 지금 작업의 바탕이 되어주었음을 강조해서 말하고 있다. 오동나무에 자개와 옻을 이용해 그리는 나름의 선비 그림, 내지 문인화에 해당하는 회화가 이런 식으로 몸을 내밀고 있다.

Paintings using mother-
of-pearl and lacquer

Park, Young-Taik
Art Critique, Professor at Kyonggi University

Sungap Kim’s paintings using mother-of-pearl and lacquer on wood present a unique skin for paintings, which are externally abstract paintings characterized by color abstraction, objet d’art paintings composed of matters, monochrome and minimal structure.
Void of brush strokes, bodily traces or expressive vestiges, his paintings are wrapped in solid membranous bodies painted entirely with colors/matters without forms or concrete representational images.

Completely indicative of only surfaces, his screens still expansively broaden the panels that swallow the deep profound interior not the skin which is a flat even physical plane. They bring up the image of the cosmic space where there are no up/down/left/right sides and where the senses of time and directions are meaningless. Unnamable profound low chromatic colors stately and fully unfold on his screens, where small colorful dots emit lights, embedded like grains of sand or chips. Then the lights lead us to unknowingly recall some images or draw lines just like chasing the stars pointing to constellations. It is said that constellations are not made by stars but human eyes. After all, Kim’s work seeks to actively engage with viewers and their imagination.
Instead of canvas, Kim uses a solid and hard wood surface as a substrate, on which he sprinkles mother-of-pearl particles and fixes them with a mixture of lacquer and pigments. The resultant surface flickers in a mixture of matters and colors, blurring the boundary between the center and surroundings. The tiny dots glow inside holding some remote abysses and serve as certain clues for viewers to unroll their diverse imagination. Yet that doesn’t necessarily reach certain specific objects of representation. Those dots and particles are merely and sneakingly breathing in the gross darkness or in a pile of sunken colors. They are in a state of brightness, a moment of sparkling or just floating around as tiny little pieces and countless glimpses.
Inside the screen, lines curve and circle, form semicircles or round streamlined shapes, draw the trajectories of whirling lines, or just have straight or oblique lines traversing the screen. The flow and rhythm of its smooth curves and simple straight lines carve up the texture (pattern) of the paulownia wood and the monochromatic color layers that occupy thereupon. Their trajectories are reminiscent of the strokes of quills, textures of wind, cosmic waves and flows of energy/chi.

However, most of all, the landscape of the mother-of-pearl particles shattering and sparkling against the abysmally sinking tones of the screen vaguely resembles the stars in the expansive azure sky, the clusters of the Galaxy or a cosmic landscape beyond the survey of man. It is not a scene visible to the eye, but one pictured at heart or a fictional one hypothesized by imagination.

Kim lays the screen horizontally on the floor to align them with each other before sprinkling or spilling the particles of mother-of-pearl on it. The law of gravity makes the fine mother-of-pearl dust fall toward the floor and scatter. The process of shaping or drawing some images while spilling the dust is comparable to the methodology of finger painting. Without directly painting on the screen, Kim still relies on the tactility of his fingers to repeat the process of spraying and applying the mother-of-pearl dust, fixing it, applying the lacquer and thereby creating reliefs on the surface. Via the process, the mother-of-pearl rises to certain different heights from the surface and germinates while stimulating the tactility. Still, the sanded surface is relatively homogeneously finished, converging the different sizes and modalities and non-homogeneous shapes of the mother-of-pearl on the even skin as much as possible. The process of sprinkling the particles, forming some shapes, mixing the lacquer and pigments, applying multiple coats of the mixture, and sanding them down renders the screen into a deeply submerged space.

Kim uses the paulownia wood board as a material and as a screen. He slices the wood into a relatively thin flat surface. Then, he burns and oxidizes its skin/membrane. When the paulownia wood is burned, its grain is clearly visible, revealing the so-called a ‘picture’. He says burning and carbonizing the skin of the paulownia wood turns its surface into charcoal, preventing the so-called shrinkage while revealing its unique attractive lines, which is why he makes the most of the very process. He then applies lacquer to the surface of the paulownia wood. Five to ten coats of lacquer are applied repeatedly. The lacquer builds up as he creates the texture considering the thickness of the mother-of-pearl on top of it. Our ancestors thought of the paulownia wood as the perfect material for storing documents, clothing and important items that are susceptible to moisture, since its special fibers facilitate the dryness and moisture control. It was a special wood material that was loved by scholars in Joseon because of its blackish matte surface suitable as the material for items in the minimal atmosphere of their study rooms.

Kim prefers the paulownia wood as a material mainly for the taste and aesthetic sense of the ancient scholars in particular. The pursuit of inner beauty rather than appearance and natural beauty rather than artificial one along with the dignified aesthetic sense of the scholars of integrity and composure is the essence of the scholastic culture in Joseon.

Kim’s approach is comparable to that of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in terms of his act of applying a line like a brush stroke with a quill on a screen aligned with the floor surface, and his attempt to employ natural materials and handle them with the least possible artificiality not to tamper with their essence, while seeking to thoroughly investigate the order of nature and align their inherent nature with his creative techniques and themes. Kim describes his work as a kind of literary painting and ink painting. That is, literary paintings or paintings using lacquer and mother-of-pearl. That’s why he underscores the spirit of literary painting. Kim seems to take the integrity and austerity, the restraint aesthetics and frugality, and the dignified aesthetics of the scholarly spirit as the backbone of his work. Such aspects are seemingly demonstrated in his current monochromatic color aesthetics, minimal compositions and restrained screen approaches. Kim emphasizes that his abundant experience and history of creating landscape paintings and literary paintings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his current work. This is how his paintings equivalent to scholarly or literary paintings using mother-of-pearl and lacquer on paulownia wood have substantially come into being.

Work
270×220cm 자개,옻,목재 2023

Work
162.2×130.3cm 자개,옻,캔버스 2023

Work
90.5×181.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270×220cm 자개,옻,목재 2023

Work
73×183.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73×183.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193×130cm 자개,옻,캔버스 2023

Work
162.2×130.3cm 자개,옻,캔버스 2023

Work
120.5×90.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120.5×90.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162.2×130.3cm 자개,옻,캔버스 2023

Work
120.5×90.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120.5×90.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120.5×90.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120.5×90.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120.5×90.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120.5×90.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90.5×120.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120.5×90.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120.5×90.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90.5×120.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120.5×90.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73×91.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90.5×146cm 자개,옻,목재 2023

Work
120.5×90.5cm 자개,옻,목재 2023

Work
91.5×146cm 자개,옻,목재 2023

Work
90.5×73cm 자개,옻,목재 2023

Artist

김 선 갑 | Sun Kab, Kim

2023
3회 개인전 (인사아트센터)

2009
氣 2회 개인전 (인사아트센터)

2008
氣 1회 개인전 (인사아트센터)

2010
꽃보다 아름다운전 (이윤수 갤러리)

2009
세로토닌전 아름다운 세상을 부탁해 (서울시립미술관)
한국현대미술 오늘의 얼굴 (그림손 갤러리)

1986~ 목현회, 가원회 회원전 40여회

작품 구입 문의
Contact For Pr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