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재의 시작
지도교수 지 민 선
수신재 민화 회원전을 축하드립니다.
이번 전시는 계원예술대학교 평생교육원의 민화작품을 보여드리는 자리입니다.
민화는 소박한 바람을 담은 그림입니다.
노련함이 부족할 수는 있겠으나 저마다의 개성으로 한 붓 한 붓 정성스럽게 염원을 담았습니다.
부디 눈으로 즐기시고 마음으로 느끼며 수신재 민화 회원분들을 응원해 주시길 바랍니다.
복 짓는 마음을 모두가 향유하고 행복을 느끼는 전시가 될 것을 기대합니다.
김 미 숙

책거리 58×38cm
책거리
책거리는 일상생활의 염원까지 담아내는 그림입니다.
책과 함께 그려지는 길상을 상징하는 기물들에는 바램이 함축되어 있습니다.
오방색이 지닌 벽사적 의미를 생각하며 그 색채에 간절한 소망을 담아 그렸습니다.
Artist
김 미 숙
김 현 주

책거리 86×60cm
책거리
아름다운 책거리 그림을 통해서 옛문인들이 그러했듯이
길상의 상징이 가득한 기물을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소망과 염원을 기원하며 표현했습니다.
Artist
김 현 주
김 미 영

화접도 53×37cm
화접도
민화에서는
우리 삶 속 행복, 기쁨, 풍요,에 대한 소망들을 꽃, 초충 등의 매개체에 담아 조화롭고 아름답게 표현했다고 합니다.
저도 꽃과 나비의 조화로운 그림을 통해
가족의 사랑, 기쁨, 풍요를 소망하는 마음을 담아 그려 보았습니다.
Artist
김 미 영
김 정 은

기명도 76×34cm
기명도
그릇을 하나 하나 그리며 각기 다른 그릇에 따라 소박한 복과 진귀한 복이 어우러져
우리 인생이 행복해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작품에 담았습니다.
이 기명도 안의 그릇마다 크고 작은 행복이 가득 넘쳐 가까이 있는 모든 이가 행복하길 바랍니다.
Artist
김 정 은
남 수 정

기명도part1 21×30cm

기명도part1 21×30cm
기명도 part 1
따스한 차한잔은 우리마음도 따뜻하게 해줍니다.
Artist
남 수 정
이 순 애

초충도 36.5×32cm

초충도 36.5×32cm
초충도
옛사람들은 자연 만물의 온갖조화를 스승으로
삼는일을 즐겼는데 자연을 보고 느끼며 몸을 낮추고
스스로를 겸손해지고자 애썻습니다.
그런 신사임당의 뜻을 마음에 새기며 조심스럽게 붓을 들었습니다.
Artist
이 순 애
안 민 지

연화도 30×30cm
연화도
연꽃은 유교의 군자와 선비를 동시에 의미합니다.
나아가 청연과 청렴을 상징하는 연꽃을 통해 소박함과 맑음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Artist
안 민 지
임 영 희

빛나는 당신의 이야기 85×60cm
빛나는 당신의 이야기
책은 곧 사람입니다. 책속에는 그 사람의 세상이 담겨있지요.
그 세상은 저를 재미있고, 놀랍고, 가슴 뛰게 만들지요.
온갖 다채로운 빛깔을 가진 사람들을 만나다보면 나의 빛깔에 대해서도 생각해봅니다.
나는 어떤 세상을 살고 있고 어떤 빛깔로 빛나고 있을까요?
그리고 지금 내 눈앞에 있는 당신은 어떤 빛깔의 사람일까요?
또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나요?
Artist
임 영 희
송 미 리

영친왕비 진주낭 30×30cm

영친왕비 진주낭 30×30cm
영친왕비 진주주머니
영친왕비가 생일이나 명절에 문안드릴때 착용하던 진주장식두루주머니입니다.
비단에 수십개의 자연진주를 화려하게 장식한 진주주머니에 복을 담아 그려서
공간을 화사하게 장식하고자 이 작품을 그리게 되었습니다.
Artist
송 미 리
하 선 영

화조도 58×39cm

화조도 58×39cm
연화도
연화도 (부제 : 축!!福)는 여름 연못에 하얀 연꽃 한송이와 연자가 피어있고, 연못에는 한쌍에 금붕어, 그리고 이들을 바라보는 물총새가 담겨 있습니다.
이는 금어를 통해 금옥만당 (金玉滿堂)을 염원하는 것입니다.
금과 옥, 금옥관자 집 안에 가득하다는 금옥만당 (金玉滿堂)에는 재물의 풍요와 더불어 조정의 어진 신하가 집안에 가득함을 의미합니다.
이 작품은 2015년 수상한 초도작으로 초심의 원기 왕성함과 새로 시작하는 이들을 위한 축복을 마음 가득 담았습니다
Artist
하 선 영
정 덕 희

일월오봉도 51×42cm
일월오봉도
일월오봉도는 조선시대 “임금”그 자체를 상징하는 중요한 그림으로, 각 궁궐의 어좌 뒤에 놓여져 있습니다.
절대자가 다스리는 세계를 “영원성”을 지닌 자연의 소재로 시각화 한 것으로 음양과 오행의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Artist
정 덕 희
김 은 지

화병도 64×39cm
모란화병도
집안의 평안함과, 부귀영화가 늘 함께하기를 소망한 그림입니다.
화병은 물을 담고 있어,생명력과 평화로움의 지속을 의미하고,
모란은 부귀영화, 석류는 자손의 번창함과 상서로운 의미,
복숭아는 장수, 연꽃은 고귀함과 청렴을 의미합니다.
Artist
김 은 지
서 점 례

모란도 31×31cm

모란도 31×31cm
모란도
모란은 꽃이 크고 탐스러우며 색이 화려하고 기품이 있어 부귀를 상징합니다.
길상과 장식성을 두루 갖춘 상징적인 꽃으로 조선시대 궁중에서 각종 행사와 의례에서 왕실의 권위를 보여주는 그림으로
중전의 방에 병풍으로 많이 사용되어 궁중회화로써 자리매김 하였습니다.
Artist
서 점 례
지 민 선
연화도
2021 Lenticular Film 50×50cm
연화도 (蓮花圖) | Lotus Flowers
연화도는 다양한 상징성과 장식성을 두루 갖춘 그림입니다.
연화도가 의미하는 것은 좋은 인연, 부부화합, 다자다복, 등이 있는데 그 중 좋은 인연에 대해 표현해 보았습니다.
한가득 꽃과 잎이 피어있는 연 밭에 오리 한 쌍이 노니는 것을 그려 화목과 사랑의 의미를 담았습니다.